19세기 제레미 벤덤의 공리주의는 하나의 종교로 치부됐죠. 당대 최고의 경제학자였던 존 스튜어트 밀에 의해서였습니다.
벤덤의 '입법론(Treatise on Legislation)'을 접한 밀은 '웨스트민스터 리뷰(Westminster Review)'지를 통해 그의 복음을 전파하는 데 앞장서죠.
'유년시절 친구' 제임스 밀(=밀의 부친. 밀은 어려서 그의 아버지로부터 철저하게 철학(정치·경제)교육을 받았다.)과 데이비드 리카도 등과 함께 말입니다.
벤덤의 공리주의는 '최대다수를 위한 최대행복'으로 요약되죠. 벤덤의 이론에 의하면 쾌락의 양만 같다면 고스톱을 한 판 치는 것이나 시를 한 수 감상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.
벤덤의 '입법론(Treatise on Legislation)'을 접한 밀은 '웨스트민스터 리뷰(Westminster Review)'지를 통해 그의 복음을 전파하는 데 앞장서죠.
'유년시절 친구' 제임스 밀(=밀의 부친. 밀은 어려서 그의 아버지로부터 철저하게 철학(정치·경제)교육을 받았다.)과 데이비드 리카도 등과 함께 말입니다.
벤덤의 공리주의는 '최대다수를 위한 최대행복'으로 요약되죠. 벤덤의 이론에 의하면 쾌락의 양만 같다면 고스톱을 한 판 치는 것이나 시를 한 수 감상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습니다.
후에 밀은 "벤덤의 행복에는 단순한 쾌락뿐이고, 최대의 행복은 단순한 쾌락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"며 "만족에 찬 돼지가 되느니 불만에 찬 소크라테스가 되겠다"고 반기를 듭니다.
그리고 밀은 명예, 존엄, 자기개발과 같은 플라톤 철학의 미덕을 가미해 공리주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킵니다. 공공의 행복을 위한 숙고가 읽히는 대목입니다.
하나 미국의 심리학 전문지 '사이콜로지 투데이'가 '진정한 행복은 무엇인가'라는 특집에서 내놓은 행복의 답은 벤덤과 밀이 쏟은 정성을 무색케 만듭니다.
이 잡지는 행복을 작고 평범한 데서 찾으라고 간단명료하게 제시합니다. 그리곤 행복을 느끼려면 먼저 강한 자부심을 가지라고 조언합니다. 약간의 자기도취도 주관적인 행복감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합니다.
"행복은 우리들 마음속에 있는 거죠"라고 철 지난 개그식 자기주문을 걸어 보라는 말인 듯싶니다. 대한민국 민초들 파이팅입니다!
'마실사회학.com > 마실에서 본 한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심지훈 희망칼럼1] 안녕! 여산 형이야. (0) | 2011.11.12 |
---|---|
[심지훈 문화칼럼] 감, 곶감, 홍시에 이렇게 깊은 뜻이! (0) | 2011.11.04 |
[심지훈 문화칼럼] 박원순의 선택과 사회불평등론 (0) | 2011.10.30 |
[심지훈 문화칼럼] 땡 다섯시의 추억을 아시나요? (0) | 2011.10.28 |
[심지훈 문화칼럼] 대구 서구청장 오판의 변 (0) | 2011.10.27 |